제조업의 설비투자 전망과 활성화 방안 |
|||
저자 | 서동혁 외 산업담당자 | 발행일 | 제 589 호 (2014.05.19) |
---|---|---|---|
원문 | ![]() |
최근 설비투자 흐름은 구조적 요인의 영향 점증, IT산업의 투자 주도, 친환경 및
신제품개발형 투자목적의 상대적 증가 등이 특징
주요 산업의 설비투자는 금년에 소폭 증가한 후 내년에 가서 회복세가 커질 것으
로 예상되며, 특히 일반기계, 반도체, 음식료, 제약 등은 내년까지 2년 연속 증가
하면서 투자가 가장 호조를 보일 전망
● 반면 석유화학, 철강, 섬유 등 소재산업군은 작년에 이어 금년에도 투자가 부진하다
가 내년부터 개선될 것으로 예상
●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자동차, 통신기기는 해외생산 확대로 인해 수출 증가가 국내
투자 확대로 연결되지 못하면서 수출-투자의 선순환성이 크게 약화
글로벌 경기의 회복 이후 해외생산 확대, 공급과잉 지속, 수요 부진은 제조업 설
비투자의 3대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므로, 경기 회복 이후를 준비하는 선제
적인 설비투자 활성화 유도가 중요한 시점
제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R&D용 투자와 신제품생산형 투자 간 연계성 강화,
고부가가치제품 생산의 국내 완결성을 높이는 후방산업 역량강화 등을 통한 구조고
도화 및 생태계 강화가 시급
● 아울러 경쟁력을 갖춘 제조분야와의 결합에 초점을 두는 내수확대 전략, 해외이전을
늦추는 국내생산의 입지경쟁력 강화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한국 산업발전 비전 2030] Ⅰ. 2030 메가트렌드 | 조 철 | 2020.02.20 | 12125 | ![]() |
[한국 산업발전 비전 2030] Ⅱ. 2030 산업발전 비전 및.. | 이 준, 박정수 | 2020.02.20 | 16374 | ![]() |
[한국 산업발전 비전 2030] Ⅲ. 산업발전 비전 2030 실.. | 김인철 | 2020.02.20 | 16091 | ![]() |
튼튼한 안보 구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위력 개선비 | 홍미루 | 2020.01.21 | 6837 | ![]() |
새해 한국경제에 바란다 | 장지상 | 2020.01.01 | 43477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