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급성장과 대응방안 |
|||
저자 | 서동혁 | 발행일 | 제 580 호 (2014.03.04) |
---|---|---|---|
원문 | ![]() |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은 2012년 처음으로 매출액 기준으로 일본을 추월하여 세계
3위 생산국으로 부상
● TV, 휴대폰, PC 등 세계 최대 수요시장을 지렛대로 매출이 2005~2013년 연평균
20.1% 증가하여 한국(7.7%), 대만(4.3%), 일본(1.5%)을 압도
● 정부의 적극 지원으로 중국이 급성장함에 따라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은 4극 체제
로 전환되면서 향후 경쟁 격화 예상
● 세계 총설비투자에서의 중국 비중은 2011년 37%에서 2013년 53%로 급증하면서,
한·중 간 LCD 생산능력 비중 격차도 37.7%포인트(2013) → 23.3%포인트(2015) →
12.9%포인트(2017)로 크게 축소될 전망
● 이르면 2018년에 중국의 LCD 생산능력이 한국의 수준을 넘어서면서 생산국 간
경쟁심화가 우려되며, AMOLED도 우리나라 외에 중국이 투자에 가장 적극적
중국의 급성장을 새 기회로 활용하고 10년 후에도 시장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 고객 확보, 차세대 신기술 등 3박자가 중요하며 산업개념을 재정립하는
장기전략도 필요
● LCD 제품개발 차별화 강화, 차세대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포스트 LCD의 선제적
대응, 전후방산업 간 생태계 강화 등이 특히 중요
● 중국 내 8세대 생산체제를 로컬 TV기업과의 제휴망 구축에 적극 활용하고 양국
공급사슬 구조를 강화하여, 중국의 산업육성을 새로운 수출기회로 활용하는 민·관
대응책 긴요
● 디스플레이가 지속적인 성장동력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산업개념을 미래지향
적으로 재정립하는 장기 발전전략 수립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 2020년 1분기 현황과 2분.. | 민성환, 홍성욱,.. | 2020.04.29 | 106878 | ![]() |
코로나19 관련 중국 내 업무 복귀 및 생산 재개 현황과.. | 박소희 | 2020.04.23 | 7095 | ![]() |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와 산업에 대한.. | 박소희 | 2020.03.18 | 10841 | ![]() |
코로나19 확산에 중국의 ‘홈이코노미’ 확대 | 전수경 | 2020.03.18 | 8891 | ![]() |
코로나19(COVID-19)가 중국 산업경제에 미치는 영향 | 김동수, 박재곤,.. | 2020.03.18 | 19550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외환위기 이후 동남아의 경제정책 변화와 한ㆍ동남아 .. | 서동혁,이석기 | 1999.08.20 | 16052 | ![]() |
칠레-멕시코ㆍ남미공동시장 (Mercosur) 자유무역협정문 | 서동혁 | 1999.04.12 | 13187 | ![]() |
브라질 금융위기 상당기간 지속될 듯 | 서동혁 | 1999.02.10 | 7448 | ![]() |
우리나라 최초로 자유무역협정 체결 | 서동혁 | 1998.12.10 | 7357 | ![]() |
멕시코 수출산업의 경쟁력 변화와 산업협력 방향 | 서동혁 | 1998.11.30 | 1163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