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대 주력산업 전망 |
|||
저자 | 산업경쟁력연구본부 | 발행일 | 제 호 (2017.12.06) |
---|---|---|---|
원문 | ![]() |
2018년 11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반도체 중심의 IT산업 수출 호조 지속과 신흥시장 경기 회복세 유지 등으로 전년동기비 4.0% 증가 전망
● 그러나 보호무역 정책 기조 및 글로벌 공급과잉 지속 등으로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
2018년 11대 주력산업의 생산은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경기 회복에 따른 투자 및 소비증가 등 내수 회복에 힘입어 소폭의 성장세 예상
● 반도체는 전방산업의 수요 확대, 신규 공장 가동 및 기존 설비 증설, 미세공정 확대와 수율 향상 등으로 26.1%의 높은 성장 전망
11대 주력산업의 내수는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따른 IT산업 수요 증가, 정부의 소득주도 및 일자리 창출 등 정책효과에 따른 민간소비 확대 등으로 증가세 시현
● IT산업군은 IoT, 빅데이터, AI 등 반도체 수요 신규 산업 확대, IoT 가전 신제품 수요 증가, 정보통신기기의 인공지능 음성인식 등 신규 서비스 확산 등에 힘입어 내수 증가세 견인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대내외 경제 여건 변화와 주요 산업별 경기 전망 | 김주한,주대영,박.. | 1999.04.30 | 24277 | ![]() |
엔화 약세 추가허용, 일본의 신용경색 아시아 위기 증.. | 김도형 | 1999.02.22 | 11638 | ![]() |
IMF체제 반년, 실물경기 총정검 | 신현수 | 1998.06.15 | 20464 | ![]() |
한ㆍ일 금융위기 극복과 경제협력 강화대책 | 김도형 | 1998.04.30 | 12168 | ![]() |
금리가 환율, 자본유입 기업의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 | 김휘석 | 1998.03.24 | 12306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