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위기는 다르다 - 코로나발(發) 경제위기의 특이성과 정책적 함의 |
|||
저자 | 강두용 | 발행일 | 제 호 (2020.08.27) |
---|---|---|---|
원문 | ![]() |
○ 이번 코로나 경제위기는 몇 가지 점에서 과거의 경제위기와 크게 다르며, 그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효과적인 정책 대응을 위해서도 중요
○ 첫째, 주로 경제적 요인에서 비롯된 과거의 경제위기와 달리, 이번 위기는 감염병 위협에서 비롯된 세계 경제위기
- 감염병의 발생과 확산에서 인간의 경제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환경생태계와 인간 경제활동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한 위기
- 그런 점에서 기후변화 위기와도 일부 맥락을 같이 하는 측면이 있음.
○ 둘째, 위와 같은 원인의 차이로 경제정책의 역할에 더 큰 한계가 존재
- 이번 위기에서 침체의 심도와 길이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경제정책의 효과가 아닌 감염병 위협의 크기와 해소 여부
- 침체 억제를 위해서는 감염병 통제 노력과 경제활성화 노력간의 적절한 균형이 중요
- 감염병 위협 해소의 관건인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보급이 지연될 경우 침체 장기화가 불가피하며, 이러한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
○ 셋째, 위기의 특성상 침체의 부문간 편차가 훨씬 더 큼.
- 심각한 경기침체 속에 일부 IT 업종 등 소위 언택트 관련 업종은 매출과 순익이 급증하는 호황을 구가
- 금년 2분기 산업별 성장률 편차(분산)는 과거 경제위기 평균의 2.5배
- 이는 보편적 지원보다 주요 피해업종과 취약계층에 지원을 집중하는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
○ 넷째, 이번 위기는 경제사회에 장기적 영향을 미칠 것
- 중장기적으로 산업구조의 변화, 경제정책 및 정부 역할의 변화, 감염병 위협을 포함한 환경생태적 위기에 대한 인식 강화와 관련 대응을 위한 자원배분 확대를 가져올 가능성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감염병과 경제위기로 본 코로나19의 진단과 경제정책의.. | 임규채 | 2020.10.29 | 25838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10.29 | 5560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9.28 | 9479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8.26 | 8444 | ![]() |
이번 위기는 다르다 - 코로나발(發) 경제위기의 특이성.. | 강두용 | 2020.08.26 | 13719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15년 한국 제조업의 업종별 기술수준 및 개발 동향 | 강두용, 민성환,.. | 2016.01.29 | 65632 | ![]() |
한국의 거시경제 및 산업구조 변화와 환율의 영향력 | 홍성욱, 이상호,.. | 2015.12.24 | 43997 | ![]() |
전력통계를 활용한 지역별 경기동향지수 개발 연구 | 박성근, 정인환,.. | 2015.12.22 | 32046 | ![]() |
2016년 거시경제 전망 | 민성환, 강두용 | 2015.12.10 | 85793 | ![]() |
제조업의 메가트렌드와 정책과제 | 주현, 강두용, 서.. | 2015.11.30 | 3575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