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
|||
저자 |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 발행일 | 제 75 호 (2019.11.27) |
---|---|---|---|
원문 | ![]() |
IT산업과 기계산업의 수출 실적이 개선되면서 주력산업의 수출은 2019년 12.1% 감소에서 2020년 2.3% 증가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세가 진정되고 메모리반도체의 단가 및 시장 안정화 등에 힘입어 전년비 2.3% 증가세 전환
● 다만 반도체를 제외한 11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2020년 0.6% 증가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 향후 수출 성과는 반도체의 실적 개선 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
12대 주력산업의 생산은 수출 및 내수 회복기조가 약하여 반도체와 이차전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회복속도가 미진할 전망
●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의 생산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는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감소세를 유지할 전망
● 자동차 생산은 수출 감소 및 외자계업체의 생산물량 조정 등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주요 수요산업의 부진으로 철강, 석유화학 등 소재산업의 생산도 부진이 지속될 전망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한 제조업 경기변동 분석 | 박성근, 김정현,.. | 2020.04.09 | 94488 | ![]() |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 과거 사.. | 강두용, 민성환 | 2020.03.23 | 69512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3.18 | 7159 | ![]() |
유행성 전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 : 과거 사례.. | 강두용, 민성환 | 2020.03.18 | 21920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2.20 | 7579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19년 하반기 경제ㆍ산업 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 | 동향통계분석본부.. | 2019.07.26 | 15285 | ![]() |
2019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전망 | 성장동력산업연구.. | 2019.07.08 | 43208 | ![]() |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 | 동향·통계분석본.. | 2018.12.14 | 1717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