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포용성장 현황과 시사점 |
|||
저자 | 김원규, 홍성욱 | 발행일 | 제 호 (2017.10.16) |
---|---|---|---|
원문 | ![]() |
세계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성장모델로서 포용성장 관련 연구 및 국제회의 논의가 확대
● 이제는 포용성장전략의 추진이 각국마다 다소 차이는 있더라도 세계적인 추세가 될 것으로 예상
WEF(2017)의 포용발전지수(inclusive development index)에 따르면, 선진 29개국 중 우리나라의 포용발전은 14위, 포용성장은 8위
● 1인당 GDP 수준과 비교해볼 때,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포용발전 수준은 양호한 편이나 세가지 구성요소 중 성장·발전 및 포용 부문의 순위는 각각 22위와 23위로 낮은 수준
● WEF의 포용성장 관련 정책·제도적 여건의 7개 상위 구성요소 중 6개 구성요소에서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을 기록
IMF(2013)의 방식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1990년 이후 포용성장지수를 산출해본 결과, 경제위기 시점을 제외하고는 양(+)의 부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나 대체로 감소추세 지속
● 1990년 이후 노동생산성 향상, 소득형평성 개선, 고용률 증대를 동시에 기록한 연도는 9개 연도에 불과
● 2000년대 후반과 비교하여 2010년대 전반에 소득형평성과 고용률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용성장지수는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둔화로 감소
포용성장의 확대를 위해서는 소득형평성과 고용률의 지속적 개선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노력을 강화할 필요
● 특히, 노동생산성, 소득형평성, 고용률, 대외요인 등의 부문에서 포용성장 관련 세부 정책을 발굴하고 적극 추진할 필요
● 정책 간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들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고 과제 간 상충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주요국 방위산업 관련 클러스터 육성제도 분석과 시사.. | 장원준, 이원빈,.. | 2018.12.10 | 29649 | ![]() |
글로벌 생산·혁신 네트워크와 혁신성장 | 조재한, 김원규,.. | 2018.12.07 | 40071 | ![]() |
한국 세라믹산업의 무역현황 및 수출경쟁력 분석 | 강민성 | 2018.11.26 | 38297 | ![]() |
2017 Summary of Research Papers | KIET | 2018.10.31 | 13824 | ![]() |
2020년대를 향한 방위산업 발전 핵심이슈 | 안영수, 김미정 | 2018.10.31 | 48673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 2016년 2분기 현황과 3분.. | 강두용, 민성환,.. | 2016.08.29 | 31619 | ![]() |
브렉시트(Brexit)와 국내 실물경제 | 강두용, 민성환,.. | 2016.08.16 | 51385 | ![]() |
가계소득과 서비스 소비지출의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 박문수, 홍성욱,.. | 2016.07.27 | 66446 |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 2016년 1분기 현황과 2분.. | 강두용, 민성환,.. | 2016.05.31 | 34684 |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2015년 4분기 현황과 2016.. | 강두용, 민성환,.. | 2016.03.30 | 4116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