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해외직접구매 정책 변화와 대응방안 |
|||
저자 | 김숙경 | 발행일 | 제 5 호 (2017.01.31) |
---|---|---|---|
원문 | ![]() |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제품 선호도도 높아 중국은 향후 우리 기업의 전자상거래 B2C 수출에서 더욱 중요한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
중국정부는 수입품 암시장 근절 등을 위해 해외직접구매에 유리한 정책을 펼쳐왔으나, 2016년 세제개편 및 통관규제 강화 등 해외직접구매 관련 규제를 강화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관련 세제개편이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 B2C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품목과 제품가격, 세율 등에 따라 양면적
● 예컨대, 음식료품은 세제개편으로 세 부담이 증가하지만, 우리나라의 최대 B2C 수출품인 화장품은 제품가격이 일정 수준(100위안) 이상이면 오히려 세 부담 감소
실제로 중국의 세제개편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 B2C 수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100% 이상 증가하여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향후 대중 B2C 수출 확대를 위해 물류시스템 개선 및 인증 획득 노력 필요
● 중국 소비자가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하는 경우 국제배송 비용과 기간의 단축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국내에 ‘국제전자상거래 공동물류센터’를 구축하는 방안 검토 필요
● 중국 소비자는 해외직접구매에서 제품의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또 최근 중국정부가 수입허가 관련 규정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므로, 제품의 품질 제고 및 인증 획득은 경쟁력 강화를 통한 중국 수출 확대의 가장 기본적인 대비책이 될 것임.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중국산업의 발전과 협력방안 - 중.. | 서동혁, 김종기,.. | 2018.12.11 | 30190 | ![]() |
중국의 대한국 관련 조직 및 인물 분석 | 조철, 박소희, 전.. | 2018.12.10 | 18745 | ![]() |
중국 동부지역의 주요 산업별 진출 전략 - 징진지(京津.. | 조철 외 | 2018.12.06 | 11324 | ![]() |
중국 동부지역의 주요 산업별 진출 전략 - 징진지(京津.. | 조철 외 | 2018.12.06 | 13608 | ![]() |
중국의 지역개발전략과 연계한 한ㆍ중 산업협력 혁신거.. | 김영수, 민귀식,.. | 2018.10.31 | 58673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인구구조 변화가 유통산업에 미치는 영향 | 김숙경, 구진경 | 2017.12.22 | 26016 | ![]() |
중국의 해외직접구매 정책 변화와 대응방안 | 김숙경 | 2017.01.31 | 16158 | ![]() |
인공지능과 유통산업의 미래 | 김숙경 | 2017.01.01 | 9084 | ![]() |
해외직접구매의 영향요인 분석 및 정책과제 | 김숙경, 김천곤,.. | 2016.12.30 | 25915 | ![]() |
한·일 유통산업 구조변화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 김숙경 | 2015.12.28 | 1605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