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 전망 |
|||
저자 | 주력산업연구실 | 발행일 | 제 617 호 (2015.06.24) |
---|---|---|---|
원문 | ![]() |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은 신흥국 성장둔화, 저유가에 따른 단가약세로 부진하지만 선
진권 경기회복, 유가안정에 힘입어 수출은 상반기(- 7.6%)보다 개선된 3.2% 감소, 생
산·내수는 전년동기 수준 전망
하반기 수출은 IT제조업(2.5%)이 소폭 호전되고, 큰 폭으로 감소했던 비IT제조업이
개선(- 10.9 → - 5.8%)되면서 상반기 대비 감소폭 완화
업종별로는 조선과 반도체가 하반기에도 수출과 생산에서 5% 이상 증가하며 상대적
으로 호조를 보이는 반면, 소재산업군은 부진
● 작년 4분기 이후 저유가의 영향으로 크게 부진했던 정유와 석유화학은 유가 하락세가
진정되면서 수출하락폭이 축소될 전망
● 한편 의약, 중전기기, 화장품 등 12대 주력산업 이외의 후발업종들이 하반기에도 증가
하며 주력산업의 수출 부진을 보완할 것으로 예상
한·중 주력산업 간 경쟁 심화, 엔화·유로화 약세 여부, 한·중 FTA 발효, 해외생산 확
대, 메르스(MERS) 등에 따른 소비침체 등은 변수가 될 전망
● 하반기 저유가, 공급과잉 및 경쟁심화 등에 따라 하락하고 있는 주요 업종의 수출단가
향방도 수출회복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
생산은 상반기 대비 개선되지만, 전체적인 수출부진과 IT제조업, 자동차, 섬유 등의
해외생산 확대 등에 기인하여 낮은 성장이 예상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2019년 3분기 현황과.. | 동향 통계분석본.. | 2019.10.31 | 25962 |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2019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 민성환, 홍성욱,.. | 2019.10.31 | 64528 | ![]() |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2019년 3분기 현황과.. | 동향 통계분석본.. | 2019.10.31 | 27092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19.10.17 | 6465 | ![]() |
한-일 무역분쟁의 국내 주력 제조업에 대한 영향 및 대.. | 민성환, 강두용 | 2019.10.17 | 13643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17년 경제·산업 전망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 산업통계분석실,.. | 2016.12.07 | 18726 | ![]() |
2017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 주력산업연구실 | 2016.11.28 | 20405 | ![]() |
2016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 | 산업·통상분석실.. | 2016.06.30 | 24223 | ![]() |
2016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 주력산업연구실 | 2016.06.23 | 17680 | ![]() |
2016년 경제·산업 전망-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 산업·통상분석실.. | 2015.12.16 | 3198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