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거시경제 전망 |
|||
저자 | 동향ㆍ통계분석본부 동향분석실 | 발행일 | 제 100 호 (2020.12.03) |
---|---|---|---|
원문 | ![]() |
○ 2021년 국내경제는 코로나19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외수의 점진적인 개선과 2020년 역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3.2% 수준의 성장률이 예상
○ 2021년에도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이 가장 큰 변수이나, 대외적으로는 주요국들의 경기회복 양상과 경기부양책 효과 지속 여부, 미·중 대립 추이 등이, 국내적으로는 한국판 뉴딜정책의 효과와 반도체 수출 지속 여부 등이 추가적인 변수로 작용할 전망
○ 소비는 전년도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로 개선될 여지가 크나 고용 부진, 가계부채와 주거비용 부담 증가, 기업실적 감소에 따른 임금상승률 둔화 우려, 정부의 추가 부양정책에 대한 부담감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개선 폭은 제한적일 전망
○ 설비투자는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경기회복과 ICT 부문의 선제적 투자수요 등을 중심으로 견조한 증가세가 예상되고, 건설투자 역시 공공인프라와 관련된 정부의 SOC 확대 정책 영향으로 토목을 중심으로 회복할 전망
○ 2021년 수출은 코로나19에 대한 각국의 대응능력 강화로 부정적 영향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중국 및 주요국의 경기회복과 전년 부진의 기저효과로 큰 폭의 증가 전망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20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 조철, 권오성 | 2020.07.23 | 15032 | ![]() |
2020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신현수 | 2020.07.23 | 16092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7.23 | 6904 | ![]() |
2020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 성장동력산업연구.. | 2020.07.01 | 42395 | ![]() |
2020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0.07.01 | 35468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21년 거시경제 전망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0.12.03 | 25048 | ![]() |
2020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0.07.01 | 3546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