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
|||
저자 |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 발행일 | 제 75 호 (2019.11.27) |
---|---|---|---|
원문 | ![]() |
IT산업과 기계산업의 수출 실적이 개선되면서 주력산업의 수출은 2019년 12.1% 감소에서 2020년 2.3% 증가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세가 진정되고 메모리반도체의 단가 및 시장 안정화 등에 힘입어 전년비 2.3% 증가세 전환
● 다만 반도체를 제외한 11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2020년 0.6% 증가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 향후 수출 성과는 반도체의 실적 개선 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
12대 주력산업의 생산은 수출 및 내수 회복기조가 약하여 반도체와 이차전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회복속도가 미진할 전망
●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의 생산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는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감소세를 유지할 전망
● 자동차 생산은 수출 감소 및 외자계업체의 생산물량 조정 등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주요 수요산업의 부진으로 철강, 석유화학 등 소재산업의 생산도 부진이 지속될 전망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금리의 하향안정화 방안-자본시장 개방을 중심으로- | 김원규 | 1996.10.16 | 31843 | ![]() |
한국ㆍ일본ㆍ대만의 수출물가 결정요인 분석 | 한진규 | 1993.01.14 | 14033 | ![]() |
걸프전 후의 중동진출여건변화와 부구사업 참여방안 | 북방ㆍ개도권실 .. | 1991.04.08 | 14582 | ![]() |
걸프전 이후의 상품 및 건설수출전망 | 이건우,최윤기,이.. | 1991.03.23 | 35991 | ![]() |
90년 국제원자재가격 전망에 따른 국내산업제품가격에.. | 정충근 등 | 1990.03.19 | 22917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21년 경제ㆍ산업 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0.12.30 | 4845 | ![]() |
2021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 성장동력산업연구.. | 2020.12.03 | 27805 | ![]() |
2020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 | 동향·통계분석본.. | 2020.07.31 | 35398 | ![]() |
2020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 성장동력산업연구.. | 2020.07.01 | 42395 | ![]() |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 동향·통계분석본.. | 2019.12.30 | 2570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