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
저자 | 동향·통계분석본부 | 발행일 | 제 67 호 (2019.07.08) |
---|---|---|---|
원문 | ![]() |
2019년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분쟁 여파로 인한 수출 부진과 투자 감소, 소비 둔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2018년보다 낮은 2.4%의 성장률이 예상
● 전년동기비 성장률은 상반기(2.0%)보다 하반기(2.7%)에 높아지는 상저하고 흐름이 예상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분쟁 심화 여부, 중국경제 성장세, 글로벌 긴축 기조의 완화 가능성, 유가나 환율 등 국제가격지표들의 변동성 확대 여부 등이 그리고 국내적으로는 주요 업종들의 수출여건 개선 여부 및 반도체 경기 향방, 소비심리 개선과 추경의 조기 집행 여부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소비는 정부의 가계소득 안정대책 등에도 불구하고 고용여건의 완만한 개선과 소비심리의 약세 등으로 전년보다 낮은 2.4% 예상
설비투자는 올 상반기 대폭적인 감소의 영향으로 연간 전체로 전년대비 감소폭의 확대가 예상되고, 건설투자는 SOC 예산 증대와 공공부문 투자 확대 등으로 인해 감소폭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
수출은 올 하반기에 반도체 가격의 하락세 둔화 등으로 감소폭이 다소 둔화될 전망이나,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등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로 연간 수출은 2018년 대비 5.9% 감소 예상
● 수입보다 수출이 크게 감소하면서 올해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18년(697억 달러)보다 크게 축소된 약 421억 달러 전망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21년 거시경제 전망 | 한정민 | 2020.12.24 | 3109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12.24 | 649 | ![]() |
2021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 성장동력산업연구.. | 2020.12.03 | 10507 | ![]() |
2021년 거시경제 전망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0.12.03 | 7656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11.26 | 3127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20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 | 동향·통계분석본.. | 2020.07.31 | 17549 | ![]() |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 동향·통계분석본.. | 2019.12.30 | 17924 | ![]() |
2020년 거시경제 전망 | 동향·통계분석본.. | 2019.11.27 | 32582 | ![]() |
2019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동향·통계분석본.. | 2019.07.08 | 34134 | ![]() |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019년 1분기 현황.. | 동향·통계분석본.. | 2019.04.30 | 2037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