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MERS - CoV) 확산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
|||
저자 | 박문수, 이동희 | 발행일 | 제 618 호 (2015.06.25) |
---|---|---|---|
원문 | ![]() |
메르스의 발생은 관광뿐만 아니라 이와 연관성이 높은 음식, 숙박업, 운수업, 오락, 문
화산업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메르스로 인한 관광지출 감소액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결과, 3개월(6~8월)이 지속
될 경우 최소 2조 5,612억원~최대 4조 6,366억원, 5개월(6~10월)이 지속될 경우
최소 4조 2,988억원~최대 7조 5,616억원 감소 예상
● 이로 인한 전 산업의 생산감소는 메르스 충격이 3개월 동안 지속될 경우 시나리오에
따라 4조 4,571억원~8조 1,046억원, 5개월이 지속될 경우 7조 4,726억원~13조 1,967
억원으로 분석
● 전 산업 부가가치 감소는 메르스 충격이 3개월 동안 지속될 경우 시나리오에 따라 2조
1,256억원~3조 7,770억원, 5개월 지속될 경우 3조 5,843억원~6조 2,010억원으로
분석
* 이러한 파급효과는 3개월 지속의 경우 2014년도 GDP(약 1,485조) 대비 0.14~0.25%, 5개월 지속의
경우 0.24~0.42% 수준에 해당
메르스 종식 이후 방한 관광객 수요의 조기 회복을 위한 상품개발과 마케팅, 그리고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홍보마케팅 사업을 전개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
●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기본적인 수용태세 개선책으로 다양한 규제의 완화와 관광지 매
력도 향상을 위한 새로운 융·복합 관광상품 개발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2019년 3분기 현황과.. | 동향 통계분석본.. | 2019.10.31 | 25575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19.10.17 | 5262 | ![]() |
한-일 무역분쟁의 국내 주력 제조업에 대한 영향 및 대.. | 민성환, 강두용 | 2019.10.17 | 12182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19.09.19 | 4266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19.08.21 | 5030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지식집약사업서비스업의 입지결정요인과 실태분석 | 이동희, 구진경,.. | 2015.03.10 | 27303 | ![]() |
서비스산업에의 규제 영향과 서비스업종별 규제개혁 방.. | 박정수, 박문수,.. | 2014.12.29 | 46901 | ![]() |
산업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서비스 클러스터 활성.. | 이동희, 구진경,.. | 2014.12.26 | 26591 | ![]() |
중국인 관광객 소비패턴 분석 및 산업연계 활용방안 | 박문수, 고대영,.. | 2014.12.26 | 31217 | ![]() |
방한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박문수, 이동희,.. | 2014.09.30 | 309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