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과 시사점 |
|||
저자 | 홍석일, 지민웅, 신종원, 한창용 | 발행일 | 제 640 호 (2016.12.26) |
---|---|---|---|
원문 | ![]() |
우리나라 국민은 소상공인에 대해 성장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국민경제에 대기업 못지않게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
● 아울러 과당경쟁이 심각하고, 직장을 구하지 못한 사람이 진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인식
현재 소상공인정책의 수준은 그 중요도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
● 정책 전반적으로 중요도 68.4점, 현재 수준 40.6점으로 27.8점의 차이
● 소상공인정책이 가지고 있는 측면별로는 고용·사회안전망(32.8점), 지역경제(29.0점), 소비자(26.5점), 중소기업(22.8점)
측면의 순으로 높은 차이
● 소상공인정책에서 기존 소상공인의 경영안정, 제품·서비스 경쟁력 제고, 성장과 함께 과당경쟁 완화를 중요하게 지적
● 대기업 규제와 소상공인 보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적극 감수할 의사가 있음을 보여줌.
앞으로의 소상공인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69.2%가 더욱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
● 주안점으로는 소상공인의 성장기반 확충, 사회안전망 확대, 합리적인 가격 유지, 지역 일자리 창출에 대해 높은 인식
● 정책 추진 주체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 부처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지적
시사점
● 고용·사회안전망과 지역경제 측면을 중심으로 소상공인정책의 강화 필요
● 소상공인의 지역별·업종별 경쟁 수준을 감안하여 차별적 추진 필요
●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대기업 규제와 소상공인 경쟁력 제고 사업의 연계·추진 필요
● 정책 추진에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중앙정부 부처와의 유기적 협조 필요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14.04.10 | 27790 | ![]() |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014년 1분기 현황.. | 동향분석실 | 2014.03.31 | 30020 | ![]() |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 2014년 1분기 현황.. | 동향분석실 | 2014.03.31 | 40513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14.03.20 | 27121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14.02.20 | 26252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문재인 정부 1년 산업부문 성과 평가 | 정은미, 홍석일,.. | 2018.05.24 | 22622 | ![]() |
창업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 양현봉, 한창용,.. | 2018.04.30 | 75436 | ![]() |
2017년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및 경쟁력 실태조사 | 홍지승, 조덕희,.. | 2017.12.27 | 45643 | ![]() |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른 중소기업 수출지원 효율화 방.. | 이영주, 조윤애,.. | 2017.12.13 | 41176 | ![]() |
대기업체제의 한계와 중소·중견기업의 신성장동력화 .. | 조영삼, 지민웅,.. | 2017.12.11 | 4852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