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
|||
저자 | 김종기 | 발행일 | 제 63 호 (2019.04.03) |
---|---|---|---|
원문 | ![]() |
지능형 반도체, 인공지능, 실감형콘텐츠, IoT가전, 지능형로봇, 자율차, 이차전지 등 9개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 역량이 대부분 미흡한 것으로 평가
● 신산업별로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지능형 반도체와 바이오헬스 분야가 특히 미흡한 것으로 평가
국내 9개 신산업의 가장 큰 공통적인 약점과 위협요인은 미약한 산업생태계 기반과 신산업 굴기를 통해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 후발주자로만 여겼던 중국은 규제 혁신과 창업 활성화, 과감한 M&A와 연구개발 등을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도약 중
신융합 시대에 대응한 국내 신산업 창출을 위해서는 ‘산업생태계’, ‘사업화 및 시장창출’, ‘성장기반’, ‘기술개발’ 등 4대 부문에서의 혁신성장 역량 강화가 필요
● 첫째, 국내산업의 최대 약점인 후방부문 육성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건화가 긴요하며, 혁신적 중소기업 역량 강화, 미래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벤처·창업 활성화 기반의 구축 필요
● 둘째, 민간 실증사업 환경 개선 및 대규모 테스트베드 구축 등 사업화 및 시장창출을 위한 전략적 지원 확대
● 셋째, 성장기반 강화를 위해 미래 인재양성체계 확충 및 글로벌 변화에 부합한 제도 및 규제 혁신이 시급
● 넷째, 정부의 기초·원천 R&D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민간의 상용화 R&D 투자를 활성화
* 본고는 2018년 산업연구원이 수행한 기본연구과제 「신융합 시대 유망 신산업의 국내 성장역량 분석과 과제」의 일부 내용을 요약·수정하여 작성한 것이다.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그린뉴딜을 이끌 해양재생에너지 혁신 전략 - 부유식 .. | 이은창, 홍성인 | 2021.02.25 | 2683 | ![]() |
저탄소시대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 방안 - 해상풍력.. | 이슬기, 허선경 | 2021.02.25 | 3982 | ![]() |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개선 정책의 평가와 과제 - 온실.. | 이슬기 | 2019.11.21 | 9112 | ![]() |
한·중 신산업 정책동향 및 경쟁력 비교와 협력방향 | 서동혁, 조은교 | 2019.06.20 | 15966 | ![]()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태양광산업 유망소재와 향후과제 | 김민지 | 2019.02.21 | 12225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한국 주력산업의 미래비전과 발전전략 | 조철, 서동혁, 장.. | 2016.12.28 | 43418 | ![]() |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산업협력 전략과 실행방안 | 이석기, 김경유,.. | 2016.12.27 | 35222 | ![]() |
주요 제조장비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 | 박광순, 주대영,.. | 2015.12.24 | 31025 | ![]() |
글로벌 가치사슬과 산업인력정책 | 최희선, 유진근,.. | 2015.12.22 | 33728 | ![]() |
2016년 산업 전망 | 김경유, 김종기 | 2015.12.10 | 4969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