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분석과 시사점 |
|||
저자 | 김원규 | 발행일 | 제 호 (2017.07.17) |
---|---|---|---|
원문 | ![]() |
최근 신정부 출범과 더불어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문제가 주요 정책현안으로 부각
● 2016년 현재 전 산업의 중소기업 임금은 대기업의 59.6%에 불과하고 제조업의 경우 중소기업 임금은 대기업의 51.5%
제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근본적으로 노동생산성, 즉 총요소생산성과 자본심화의 격차에 기인
● 2014년 현재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총요소생산성 및 자본심화는 각각 대기업의 30.9%, 59.2%, 52.2%에 불과
또한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중소기업의 비정규직 비율이 대기업에 비해 높고 비정규직 임금이 대기업에 비해 낮은 데도 기인
● 비정규직 중 중소기업의 비중은 94.9%에 달하고 있고 중소기업의 비정규직 비중도 대기업(13.6%)보다 크게 높은 35.6% 수준
● 중소기업 비정규직 임금은 정규직 대비 71.0%, 대기업 비정규직 대비 59.7% 수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혁신강화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중소기업의 비정규직 문제도 해소하는 것이 중요
● 중소기업 혁신강화를 위해서는 스마트공장의 지속적 보급 확대, 혁신창업 및 혁신기업 성장 촉진에 초점을 맞출 필요
● 중소기업의 비정규직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통합적·다각적 방안을 강구하되 특히 업종별·기업규모별로 차별적 방안 마련 필요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지역별 수출경쟁력 분석 및 미래 성장산업 식별 연구 | 박문수, 고대영 | 2017.12.21 | 36973 | ![]() |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실태 특징과 시사점 | 장윤종 | 2017.12.21 | 13556 | ![]() |
혁신성장을 위한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의 방향과 과.. | 장석인 | 2017.11.23 | 20312 | ![]() |
혁신성장을 위한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의 방향과 과.. | 장웅성, 이자연 | 2017.11.23 | 9748 | ![]() |
혁신성장을 위한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의 방향과 과.. | 송용설, 이자연 | 2017.11.23 | 9587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중장기 거시경제 운영방향 | 김원규,신현수 | 1998.01.22 | 18065 | ![]() |
외국의 금융위기 극복사례와 시사점 | 김원규,서동혁,홍.. | 1998.01.02 | 34914 | ![]() |
구조조정과 우리 경제의 방향 | 김원규 | 1997.12.30 | 13283 | ![]() |
KIET 경기 모형과 산업별 경기지수 | 김원규 | 1997.04.30 | 16602 | ![]() |
우리나라의 OECD가입과 자본 자유화-자본 자유화의 거.. | 김원규 | 1996.12.13 | 1484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