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훈
2020-12-23
○ 산업용 섬유는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기술혁신에 의한 기능성과 성능이 향상되면서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가죽 등을 대체하며 신수요가 빠르게 창출 - 세계 산업용 섬유 시장 규모는 2017년 5,471만 톤에서 2025년에 7,819만 톤으로 연평균 4.6% 증가할 전망인데, 이는 섬유 전체 수요 증가율(3.0%)보다 ..
김상훈, 김계환
2020-12-10
□ 지속 가능한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자발적 기술금융 생태계의 조성이 필요 ○ 기술금융은 기술·경제적 패러다임 변화와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 전개라는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증대- 국내 기술금융은 오랜 추진 경험 및 양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엇갈린 반응- 이와 같은 양적 증가 편중 경향과 함께 장기적이고..
홍성욱, 민성환, 이소라
2020-11-12
□ 최근에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경제환경이 과거와 크게 달라진 점 중의 하나는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uncertainty)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임. ○ 불확실성 자체는 시장경제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이러한 불확실성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제에 불필요한 부작용을 초래 ○ 이에 따라 경제 전체가 직면한 불..
송영진
○ 본 연구는 개인 단위 사교육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대면 교육서비스의 현황을 제시하고 수요적 특징을 분석함.○ 인구구조 변화와 기술의 진전, 코로나19와 같은 외부충격 등 교육서비스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는 비대면화에 영향을 미침.○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원격수업이 비대면 교육서비스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비..
김승민, 박정수
2020-11-06
○ 4차산업혁명에 따른 산업 환경 변화에 따라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이 중요해지면서 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 ○ 우리나라의 서비스업 관련 부가가치와 R&D 투자는 주요국 대비 부족한 편이며 서비스 분야 R&D 정책 수립 필요 ○ 정부 R&D 기획 및 과제 선정 과정에서 특허 분석은 다양하게 활용..
김바우, 정선인, 김정현
2020-10-30
○ 베트남은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 국가로서, 많은 수의 한국 기업이 베트남 현지에 진출하여 베트남의 경제성장에 기여하였으나 구체적인 무역성과에 대한 정보는 부재 - 베트남은 한국의 무역·투자 측면에서 ASEAN 내 핵심 파트너 국가로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신남방정책의 중심에 있음.- 베트남의 적극적인 대외경제정책에 힘입어..
이상현, 박지원
○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은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견인하는 대표적 고부가가치 핵심산업으로 평가됨. ○ 그러나 경영성과가 경제환경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는 대표적 수주 산업임을 고려할 때 돌발적 시장충격에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 마련이 요구됨. ○ 최근의 COVID-19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는 글로벌 저성장 기조의 심화와 함께 ..
동향ㆍ통계분석본부
□ 2020년 3분기 현황 ○ 제조업 매출(84)은 100 하회 지속, 3분기 만에 전분기 대비 상승- 내수(85)와 수출(91)이 전분기와 달리 두 자릿수 상승하고, 특히 수출이 상당 폭 상승, 투자(99)와 고용(97) 역시 3분기 만에 상승 전환 □ 2020년 4분기 전망 ○ 매출 전망치(89)는 100 하회 유지, 전분기와 달리 상승 전환- 내수 전망..
□ 2020년 3분기 매출 현황○ 국내 다수 지역에서 제조업 매출의 전분기 대비 감소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동남권과 대경권, 전라권에서는 전 지역이, 수도권과 충청권에서는 서울과 대전 등지를 제외하고 매출 감소세가 둔화 □ 2020년 4분기 매출 전망○ 국내 다수 지역들이 제조업 매출의 전분기 대비 감소세가 둔화되는..
민성환, 홍성욱, 한정민, 류지선, 정일, 이유신
□ 2020년 3분기 현황○ 전체 기업 매출(95)은 100 하회 지속, 2018년 3분기 이후 최고치- 현지 판매(98)가 전분기에 이어 소폭이나마 추가 상승하고, 투자(102)도 3분기 만에 100 상회, 영업 환경(83)은 8분기 만에 최고치 수준 □ 2020년 4분기 전망 ○ 매출 전망치(108)는 3분기 연속 100 상회, 전분기 대비 상승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