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3년 07월 |
---|---|
원문 | ![]() |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3년 07월
1. 실물경제 총괄
□ 해외경제 :미국은 5월 산업생산이 전달 수준에 그치면서 최근의 부진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반면, 소매판매가 자동차 및 건축자재 판매가 호조세를 보이면서 전월비 0.6% 증가하는 등 실물지표들의 부문 간 혼조세가 지속
□ 중국 산업동향 :2013년 5월 중국 공업부문의 부가가치 증가율은 전년동월 대비 9.2%를 기록하여 4월과 비슷한 수준의 증가세 유지
□ 국내 실물경제 : 5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0.4% 감소(전년동월 대비 1.4% 증가)
2.산업별 동향
□ 제조업생산 : 4월 제조업 생산은 전년동월비 1.8% 증가, 전월비 0.7% 증가
- 제조업생산(109.3)은 의료·정밀·광학(15.5%), 화학제품(5.9%)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컴퓨터 및 주변장치(-37.1%), 통신 및 방송장비(-20.5%) 등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비 1.5% 감소
- 공업구조별로는 제조업ICT(0.7%)는 증가하였으나, 중공업(-1.8%)과 경공업(-0.4%)은 감소
- 전월 대비 생산이 증가한 업종은 화학제품(4.2%), 석유정제(5.4%) 등이며 기타운송장비(-9.6%), 반도체 및 부품(-2.5%) 등이 감소하여 전월 대비 0.4% 감소
□ 서비스산업 : 5월 서비스산업 생산 전년동월비 1.6% 증가
- 5월 서비스산업 생산은 협회 . 수리 . 개인서비스업 및 전문 . 과학 . 기술서비스 등의 증가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1.6% 증가(전월비로는 0.2%)
제목 | 연구책임자 |
---|---|
2013년 국내경제 전망 | 민성환 |
10대 주력산업의 2013년 하반기 전망 | 김종기 |
서비스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자금조달 환경 개선 필요 | 이순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