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3년 05월 |
---|---|
원문 | ![]() |
1. 실물경제 총괄
□ 해외경제 : 미국은 3월 생산 둔화와 소비 감소 등 실물지표들의 부문간 엇갈린 실적에도 불구하고 2013년 1분기 전체 실적으로 2012년 4분기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이면서 실물경기의 비교적 완만한 흐름이 이어지는 양상
□ 중국 산업동향 : 2013년 3월 중국 공업부문의 부가가치 증가율은 전년동월 대비 8.9%를 기록하여 1-2월보다도 더 부진
□국내 실물경제 : 3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대비 2.6% 감소(전년동월대비 3.0% 감소)
2.산업별 동향
□제조업생산 : 3월 제조업 생산 전년동월비 3.0% 감소, 전월비 2.5% 감소
- 제조업생산(107.8)은 반도체(14.6%), 의료·정밀·광학(12.1%)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컴퓨터 및 주변장치(-54.1%), 통신 및 방송장비(-23.7%), 자동차(-10.0%) 등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비 3.0% 감소
- 공업구조별로는 제조업ICT(-1.3%)과 중공업(-3.1%) 및 경공업(-2.7%) 모두 감소
- 전월대비 생산이 증가한 업종은 기계장비(3.8%), 반도체 및 부품(1.3%) 등이며, 자동차(-9.8%), 영상음향통신(-9.1%), 기타운송장비(-5.4%)등이 감소하여 전월대비 2.5% 감소
□서비스산업 : 3월 서비스산업 생산 전년동월비 0.7% 증가
- 3월 서비스산업 생산은 의료·보건·사회복지업 및 금융·보험업 등은 증가한 반면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및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 등은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0.7% 증가(전월비로는 ?1.0%)
제목 | 연구책임자 |
---|---|
장기 환율 추이로 본 엔저 | 강두용 |
서비스분야 사회적 경제의 키워드 : 협동과 공유 | 김천곤 |
5월 1일 한·터키 FTA 발효로 섬유 수출 확대 기대 | 이임자 |
2013년 프로야구산업의 생산유발효과 추정 | 김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