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모바일서비스안내
Home
Login
Contact
Sitemap
English
산업연구원
상세검색
hot keyword
조선
산업정책
산업동향
산업연구원
자동차
기술혁신
신성장동력
FTA
자동차산업
이전
다음
보고서
연구보고서
i-KIET 산업경제이슈
정기간행물
학술지 산업연구
용역프로젝트
동향분석
산업동향 브리프(월간)
미래전략산업 브리프(격월)
실물경제 속보 (월 2회)
4차 산업혁명과 한국경제
정책 이슈 분석
중국산업경제브리프
주요산업동향지표(반기별)
산업별 정보
KIET 산업별 기초분석
산업별 자료보기
제조업 경기실사
바이오 산업통계
고객서비스
이용안내
간행물 구독신청
뉴스레터 신청
참여마당
Q&A
연구원소식
KIET 공지사항
보도자료
KIET 관련기사
세미나
포토갤러리
글로벌 네트워크
해외출장보고서
우리원 소개
원장
조직도
홍보관
비전
윤리경영·경영공시
인권경영
클린신고센터
찾아오시는 길
정부 3.0 정보공개
산업동향 브리프(월간)
산업동향 브리프(월간)
미래전략산업 브리프(격월)
실물경제 속보 (월 2회)
4차 산업혁명과 한국경제
정책 이슈 분석
중국산업경제브리프
주요산업동향지표(반기별)
산업동향 브리프(월간)
홈
동향분석
산업동향 브리프(월간)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4년 8월
제목
이슈 한·EU FTA 발효 이후, 주얼리 제품의 대EU 수입 급증
연구책임자
이임자 부연구위원
이슈원문
◎한·EU FTA 협정에 의한 높은 수준의 시장 개방
● 2011년 7월 1일 기점으로 한·EU FTA가 잠정 발효됐으며, 주얼리 부문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시장 개방
- 주얼리 제품(원석·귀금속 지금 등 소재, 공업용 제품 제외) 부문은 6개 품목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5.6∼8%에 이르는 수입관세가 완전 철폐
이슈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