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업의 성공-실패 요인 분석과 정책 시사점 |
|||
저자 | 조덕희 | 발행일 | 제 호 (2019.06.20) |
---|---|---|---|
원문 | ![]() |
우리나라 창업률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창업정책의 시급한 당면 과제는 OECD 최하 수준인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다.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창업정책이 바람직할 것인가? 본고에서는 창업기업이 왜 실패하는지, 성공 창업기업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창업기업의 성공-실패 이유를 알아야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창업정책의 틀을 구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창업기업의 성공-실패요인 분석을 토대로 하여 본고가 제시하는 창업정책의 방향은 ① 창업기업 수보다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는 창업정책으로 전환, ② 창업투자(돈)보다 창업가(사람) 중시형 창업정책을 지향, ③ 창업정책의 현장 중시 운영과 성과관리 강화 등이다.
* 본 원고는 조덕희(2018), 「창업기업의 지속성장역량 분석과 생존율 제고 방안」,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2018-870)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