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SITEMAP

NEWSLETTER Subscribe

i-KIET Issues & Analysis

cover
New Year’s Prospects for the Korean Economy PreviewDownload 2023.01.01

The Year of the Rabbit is upon us. I am honored to have this opportunity to greet the readers and supporters of i-KIET Industrial and Economic Issues at the dawn of the New Year.

At the outset of 2022, the South Korean economy sought to start anew, aiming to finally surmount the hurdles of COVID-19. Unfortunately, however, the economy is now confronted with an unprecedented level of uncertainty, as one unforeseen risk after another emerged over the course of 2022. These risks include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the abrupt turn in US monetary policy, China’s only recently-abandoned zero-COVID-19 policy and draconian lockdowns, the intensifying conflict over economic hegemony between the world’s great powers, and the growing financial insecurity of emerging economies. The Korean economy has thus been seeing clear signs of slowdown since late 2022, especially in the manuf acturing sector.

Whatever optimism people had harbored for the world economy in 2023 has been fading rapidly. In its World Economic Outlook published last October,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projected that the global economy would grow by 2.1 percent in 2023, down from the 2.9 percent expansion recorded in 2022. The IMF forecasts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economies are poised to enter a recession this year.

There are warning signs with respect to the Korean economy as well. The double whammy of soaring inflation and rising interest rates is expected to handicap the Korean economy this year, with exports, investment, and consumption all expected to struggle, conspiring to cap the growth rate at 1.9 percent. The 13 major industries of the Korean economy are likewise forecast to struggle, particularly with the downturn of the semiconductor business cycle and contracting global demand. Although the automotive, shipbuilding, secondary battery, and health and biotech industries are expected to continue along their growth trajectory in 2023, the majority of other industries, including semiconductors, petroleum products, and steel, face hard times ahead.

The extreme difficulties posed by external factors compound the many domestic problems Korea has yet to tackle, and in addressing both the Korean economy is now confronting a distinct new challenge. It is with this in mind that we at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KIET) pledge to do our utmost to reinvigorate the domestic economy help Korean industries take the next step forward. We will do this by refocusing our efforts on analyzing the most pressing issues facing the economy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argeting the real economy.

I wish success and happiness for all of our readers and their families. The research faculty at KIET, who constitute the preeminent industrial development think tank in Korea, promise to faithfully execute the duties entrusted to them.

Ju Hyeon, Presiden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List
Verify KIET Email Address

Please enter the security text below
to prevent email collection

  • 보안문자
Check KIET employee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체 : 산업연구원

KIET Research faculty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Seminars kiet
유튜브 영상

View Summary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Check employee information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form@kiet.re.kr
Employee directory access verification

Please complete the CAPTCHA below.

  • 보안문자
KIET Video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