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
|||
저자 | 김종기 | 발행일 | 제 63 호 (2019.04.03) |
---|---|---|---|
원문 | ![]() |
지능형 반도체, 인공지능, 실감형콘텐츠, IoT가전, 지능형로봇, 자율차, 이차전지 등 9개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 역량이 대부분 미흡한 것으로 평가
● 신산업별로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지능형 반도체와 바이오헬스 분야가 특히 미흡한 것으로 평가
국내 9개 신산업의 가장 큰 공통적인 약점과 위협요인은 미약한 산업생태계 기반과 신산업 굴기를 통해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 후발주자로만 여겼던 중국은 규제 혁신과 창업 활성화, 과감한 M&A와 연구개발 등을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도약 중
신융합 시대에 대응한 국내 신산업 창출을 위해서는 ‘산업생태계’, ‘사업화 및 시장창출’, ‘성장기반’, ‘기술개발’ 등 4대 부문에서의 혁신성장 역량 강화가 필요
● 첫째, 국내산업의 최대 약점인 후방부문 육성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건화가 긴요하며, 혁신적 중소기업 역량 강화, 미래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벤처·창업 활성화 기반의 구축 필요
● 둘째, 민간 실증사업 환경 개선 및 대규모 테스트베드 구축 등 사업화 및 시장창출을 위한 전략적 지원 확대
● 셋째, 성장기반 강화를 위해 미래 인재양성체계 확충 및 글로벌 변화에 부합한 제도 및 규제 혁신이 시급
● 넷째, 정부의 기초·원천 R&D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민간의 상용화 R&D 투자를 활성화
* 본고는 2018년 산업연구원이 수행한 기본연구과제 「신융합 시대 유망 신산업의 국내 성장역량 분석과 과제」의 일부 내용을 요약·수정하여 작성한 것이다.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과 평가 | 정은미 | 2017.05.17 | 14467 | ![]() |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의 수립 배경과 주요 내.. | 김정원 | 2017.04.13 | 4522 | ![]()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동력, 스마트헬스케어산업 | 황원식, 최윤희 | 2017.03.20 | 18943 | ![]() |
3D프린팅이 주요 산업의 가치사슬 및 경쟁력에 미치는.. | 이경숙 | 2017.03.10 | 8894 | ![]() |
영국의 스마트 에너지 혁명과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 곽대종 | 2017.03.10 | 6707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IT의 발전과 동북아 지역협력 :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 | 김기홍, 김종기 | 2001.06.01 | 560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