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융합시대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역량 평가와 과제 |
|||
저자 | 김종기 | 발행일 | 제 63 호 (2019.04.03) |
---|---|---|---|
원문 | ![]() |
지능형 반도체, 인공지능, 실감형콘텐츠, IoT가전, 지능형로봇, 자율차, 이차전지 등 9개 국내 신산업의 혁신성장 역량이 대부분 미흡한 것으로 평가
● 신산업별로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지능형 반도체와 바이오헬스 분야가 특히 미흡한 것으로 평가
국내 9개 신산업의 가장 큰 공통적인 약점과 위협요인은 미약한 산업생태계 기반과 신산업 굴기를 통해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 후발주자로만 여겼던 중국은 규제 혁신과 창업 활성화, 과감한 M&A와 연구개발 등을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도약 중
신융합 시대에 대응한 국내 신산업 창출을 위해서는 ‘산업생태계’, ‘사업화 및 시장창출’, ‘성장기반’, ‘기술개발’ 등 4대 부문에서의 혁신성장 역량 강화가 필요
● 첫째, 국내산업의 최대 약점인 후방부문 육성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건화가 긴요하며, 혁신적 중소기업 역량 강화, 미래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벤처·창업 활성화 기반의 구축 필요
● 둘째, 민간 실증사업 환경 개선 및 대규모 테스트베드 구축 등 사업화 및 시장창출을 위한 전략적 지원 확대
● 셋째, 성장기반 강화를 위해 미래 인재양성체계 확충 및 글로벌 변화에 부합한 제도 및 규제 혁신이 시급
● 넷째, 정부의 기초·원천 R&D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민간의 상용화 R&D 투자를 활성화
* 본고는 2018년 산업연구원이 수행한 기본연구과제 「신융합 시대 유망 신산업의 국내 성장역량 분석과 과제」의 일부 내용을 요약·수정하여 작성한 것이다.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신융합 시대 유망 신산업의 국내 성장역량 분석과 과제 | 김종기, 서동혁,.. | 2018.12.07 | 4666 | ![]() |
에너지 전환정책의 파급효과와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 | 전재완, 홍성욱,.. | 2018.12.07 | 4820 | ![]() |
국내 신재생에너지 재활용산업 현황 및 발전과제 | 모정윤 | 2018.04.12 | 4880 | ![]() |
국내 이차전지산업 현황과 발전과제 | 주대영 | 2018.03.15 | 6160 | ![]() |
제조-서비스 융합 산업의 성장조건과 발전방향 | 서동혁 | 2018.03.15 | 19028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고비용구조 개선을 통한 제조업 활력제고 전략 | 서동혁,김종기,최.. | 2008.12.26 | 25042 | ![]() |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른 국내 전자산업의 위상 변화와.. | 김종기 | 2007.12.20 | 8830 | ![]() |
융합시대의 IT산업 발전비전과 전략 | 서동혁,주대영,이.. | 2007.12.18 | 30859 | ![]() |
중국 발전전략 전환에 따른 국내 통신기기산업의 대응.. | 김종기 | 2006.12.18 | 8169 | ![]() |
한·일 FTA가 주요 부품·소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 박광순,신현수,박.. | 2005.12.20 | 20740 | ![]() |